제주곶자왈도립공원 탐방안내소 전경
제주곶자왈도립공원
제주곶자왈도립공원은 제주의 대표 자연자원인 곶자왈의 생태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자연휴양공간 제공, 체험·학습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최대의 생태관광지로 거듭날 것입니다.
- 지정목적
- 제주의 대표적인 자연자원인 곶자왈의 체계적 보전 및 관리
- 곶자왈 체험·학습의 장 및 지속가능한 이용공간 마련
- 지정일시 : 2011년 12월 30일
- 근거법령 : 자연공원법 제4조(자연공원의 지정 등) 제1항
- 공원위치 :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에듀시티로 178
- 면적 : 1,546,757㎡
용도지구
용도지구
구분 |
면적(㎡) |
구성비(%) |
합계 |
1,546,757 |
100.0 |
공원자연보존지구 |
1,436,992 |
92.9 |
|
보성리 |
730,411 |
47.2 |
구억리 |
126,596 |
8.2 |
신평리 |
579,895 |
37.5 |
공원자연환경지구 |
109,765 |
7.1 |
|
보성리 |
64,940 |
4.2 |
구억리 |
- |
- |
신평리 |
44,825 |
2.9 |
주요시설
주요시설
공공/문화/상업시설 |
탐방안내소 |
휴양/편익시설 |
곶자왈전망대, 휴게쉼터(5개소) |
교통/운수시설 |
곶자왈탐방로, 주차장 |
부대시설 |
신평곶자왈생태체험학교, 곶자왈탐방로 |
주요자원
주요자원
멸종위기 야생동식물(II급) |
개가시나무, 애기뿔소동구리, 물장군, 조롱이 |
포유류 |
노루, 오소리, 제주족제비 등 7종 |
조류 |
황조롱이, 꿩 등 7종 |
양서류, 파충류 |
줄장지뱀 등 6종 |
곤충류 |
무당벌레 등 160종 |
역사문화자원 |
석축시설 10기, 숯가마터 1기, 천연동굴(궤) 4개소 |
사업개요
- 기간 : 2009년 ~ 2015년
- 사업비 : 약57억원 (1단계 : 21억원, 2단계 : 36억원)
- 도입시설
- 1단계(2009년 ~ 2012년) 탐방로, 휴게쉼터, 주차장
- 2단계(2013년 ~ 2015년) 탐방안내소, 곶자왈전망대, 생태체험학습장
사업 추진현황
도립공원 1단계사업
- 2009.01 생태공원 타당성조사 및 기본구상 수립(‘10.01)
- 2010.12 곶자왈 생태 도립공원 조성을 위한 3자간 업무 협약
- 2010.12 신평리-JDC간 곶자왈 생태공원 조성을 위한 상생협약
- 2011.12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 고시
- 2012.03 제주곶자왈도립공원 1단계 공원사업시행 허가
- 2012.12 1단계(탐방로, 주차장, 쉼터 등) 공사 준공
도립공원 2단계사업
- 2013.11 제주곶자왈도립공원 2단계 공원사업시행 허가
- 2014.04 2단계 시설계획 유관기관 합동실사 및 대안 협의
- 2014.07 제주곶자왈도립공원 계획 결정 변경고시
- 2014.11 제주곶자왈도립공원 2단계 공원사업시행 변경 허가
- 2014.11 신평리 생태문화체험학교 시설계획 승인
- 2015.06 2단계(탐방안내소, 생태학습장 등) 공사 준공